배너 닫기
뉴스등록
RSS
주요행사
맨위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동 합의문 최종 서명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대구경북특별시 탄생,  2026년 7월 출범 목표

등록일 2024년10월22일 09시0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사진=경북도 제공

 

경북도, 대구시, 행안부, 지방시대위원회가 10월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동 합의문에 최종 서명하면서 좌초 위기에 놓였던 행정통합 불씨가 되살아났다.

 

행정통합 논의가 중단된 지 한 달여 만에 다시 추진 의사를 밝힌 것이다. 지난 6월 4일 행안부, 지방시대위원회, 대구시, 경북도 4개 기관이 대구경북(TK) 행정통합을 공식 추진하기로 협의한지 138일만이다.

 

공동 합의문 서명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홍준표 대구시장, 이상민 행안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모두 참석했다.

 

공동 합의문은 그동안 양 시도 간의 큰 걸림돌이었던 기초자치단체 권한과 통합청사 문제 등 7개 사항에 대한 이견이 제거됐다.


이번에는 통합 지자체의 법적 지위가 명시됐는데 통합 지방자치단체는 ‘대구경북특별시’로 하고, 광역시와 도(道)를 통합한 취지를 고려해 수도인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을 설정했다.

 

대구경북특별시 관할 시·군·자치구는 통합 후에도 종전 사무를 계속하고, 대구경북특별시에는 경제와 산업 육성, 균형발전, 광역행정 등에 관한 종합계획 및 조정·집행기능을 부여했다.

 

그동안 행정통합에 반발해온 지역을 고려해 경북 북부지역 발전 등 지역 내 균형발전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또 통합 청사와 그 위치를 두고 논란이 컸던 청사 문제도, 대구시 청사와 경북 안동시·포항시 청사를 모두 활용하고, 각 청사 소재지에 따른 관할 구역은 별도로 설정하지 않기로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상호 존중과 신뢰를 기반 해 통합을 계속 추진하고, 시·도 의회 의견 청취와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막판까지 행정통합 중재 노력에 힘을 쏟았던 행안부와 지방시대위원회는 통합의 입법 절차와 행·재정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국가의 사무와 재정을 적극적으로 이양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100년 만에 이뤄지는 지방행정 개혁, 중앙집권제를 지방분권화하고 수도권 일극체제를 균형발전으로 바꾸는 국가 대개조라는 명분을 담고 힘찬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통합 대구경북특별시는 제9회 지방선거 직후인 2026년 7월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데이포커스 ⓒ www.todayf.kr)
편집부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자명 + 입금일자 입력 후 우리은행:1005-202-716486/투데이포커스로 입금해 주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양주시, 섬유패션산업 육성지원사업 성과발표회 성료 (2024-11-07 15:57:08)
APEC 정상회의 장소 경주시로 결정 (2024-06-22 16:33:00)


가장 많이 본 뉴스

경제 사회 정치 세계 칼럼

투데이뉴스 더보기

영상뉴스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

스토리뉴스 더보기